우리가 알아야 할 독감 예방 수칙
지금 우리나라는 독감이 대유행입니다.
병원에 가면 독감 환자들이 많이 있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독감은 감기가 아닙니다.
바이러스 자체가 다릅니다.
가볍게 앓고 지나가는 감기와 달리
증세가 심하며 전염력도 높아 죽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모두 독감 극복을
해 알아야할 7가지 방법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독감예방 수칙
1. 사람 많은 곳을 피하라
요즘 같은 유행 시기엔 행사나 모임
등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하는게 좋습니다.
따뜻해도 사람 많이 모인 곳이 추워도
사람 적은 곳보다 훨씬 위험하며 독감은
추위가 아니라 사람들의 몸에서 배출되는
바이러스가 옮기기 때문입니다.
독감예방수칙
2. 가습기를 가동하라
적절한 실내습도가 독감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떨어뜨릴수 있습니다
미국질병예방통제센터는 상대습도가
23% 이하로 건조할 경우 70-77%의 독감
바이러스가 감염능력을 유지하나 43%로
올라가면 감염력이 14%로 급격하게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2013년 발표한
바 있습니다.
공기중 수분이 독감 바이러스 입자의
외피를 액화시켜 감염능력을 불활성화시키고
무게를 증가시켜 바닥에 떨어지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공기가 건조할수록 오래도록
생존하며 공기 중에 둥둥 떠다니며
전염시킵니다.
그러나 습도가 너무 높으면 곰팡이 등
감염의 우려가 있습니다.
독감 바이러스의 전염력과 실내습도와의
관계를 밝힌 40여개 논문들을 종합할 때
독감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가장 적절한
습도는 40-60%이며 가습기의 목표 습도
스위치를 50% 내외로 설정하면 됩니다.
독감예방 수칙
3. 기침예절을 지키자
기침할 때 공기중으로 튀어나온 독감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의 코나 입으로
들어가 전염시킵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대개 2미터까지
날아갑니다. 따라서 기침이 나오려할 땐
사람들과 2미터 이상 떨어진 곳으로
옮겨서 티슈나 소매로 입을 가린채
바닥을 향해 하는게 좋습니다.
독감예방 수칙
4. 눈코입을 만지지 마라
독감은 기침 뿐 아니라 손을 통해
전염됩니다. 감염자가 만진 문고리나
손잡이를 만질 때 바이러스가 옮겨오기
때문이지요. 외출후 손을 비누로 씻어야
하며 그러나 외부에서 활동시 일일이 비누로
손을 씻을 순 없을 경우 이땐 눈과 코, 입을
만지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애를 써야합니다.
무심코 자신의 눈과 코, 입을 만질 때
감염되기 때문입니다.
비누로 씻기 전까진 눈코입을 되도록
만지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독감예방 수칙
5. 증세가 사라진 뒤에도 최소
24시간 집에 머물러야 한다
독감 환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옮기지
않도록 주의할 의무가 있습니다.
미질병예방통제센터는 열이 사라지는 등
증세가 가라앉은 뒤에도 최소 24시간 이상
집에 머물러야한다고 강조합니다.
증세가 사라진 후에도 24시간까지 독감
바이러스가 몸에서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독감예방 수칙
6. 임신부는 지금이라도 백신을 맞자
임신부는 면역이 떨어져 있어 독감에
걸릴 경우 사망률이나 합병증 발생률이
일반 인구보다 훨씬 높습니다.
임신부 본인은 물론 태아에게도 해로우며
임신부는 대개 태아의 건강을 생각해
약물이나 주사의 사용을 꺼리지만
독감백신만은 예외입니다.
임신부는 가장 중요한 독감 고위험군이며
세계보건기구는 임신주수와 상관없이
임신부의 독감백신 접종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독감예방 수칙
7. 증세가 나타난지 48시간 이내라야
약물치료의 효과가 있다.
독감은 타미플루 등 치료제가 있습니다.
그러나 투여시간이 중요합니다.
첫 증세가 나타난 뒤 48시간 이내라야
효과가 나타나며 감기와 구별되는
독감의 증세는 기침 이외 38도 이상의 심한
고열과 온몸을 두들겨 맞은듯한 근육통이다.
이땐 지체말고 바로 병원을 찾아 약물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John 3:16)
'알면좋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탕 덩어리인 건강식품 6가지 (0) | 2017.01.11 |
---|---|
약 보다 좋은 천연소화제 10가지 식품 (0) | 2017.01.10 |
금주후 신체의 놀라운 변화 (1) | 2017.01.09 |
금연에 도움이 되는 좋은 식품(음식) (0) | 2017.01.08 |
경기도 근교 가볼만한 겨울 여행지 추천 (0) | 2017.01.08 |